ChatGPT 와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은 없을까? 🤔
안녕하세요, 카카오뱅크 데이터인텔리전스팀 Devyn입니다.
2022년 11월, ChatGPT가 처음 출시되었을 때를 기억하시나요? 개인적으로는 ‘Mind-blowing’이라는 단어가 떠오를 정도로 혁신적이면서도 충격적이었고, 앞으로 이를 활용해서 어떤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보며 설레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이렇게 생성형 AI의 대명사로 알려진 ChatGPT는, 이미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우리의 일상과 업무 영역을 아우르며 활용되고 있는데요. ChatGPT가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즉, “대화”)을 통해 대답을 얻는 인공지능 기술인 만큼, 이를 잘 인지한 상태에서 사용한다면 더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질문을 해야 좋은 대답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ChatGPT와의 대화에서도 마찬가지일 텐데요. ChatGPT에게 프롬프트로 명령을 하기 전에, 몇 가지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을 익혀둔다면 AI로부터 보다 좋은 대답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이를 잘 연마한다면, AI를 마치 개인 비서처럼 편리하게 이용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ChatGPT와의 효과적인 대화를 위해 소개해드릴 7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명확하게 질문하기
- 시점 정보 활용하기
- 질문은 나눠서, 여러 번 물어보기
- 답변의 형태를 지시하기
- 상황과 대상을 구체화해서 질문하기
- 마법의 단어 사용해서 질문하기: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 제공된 정보 내에서 최적의 대답 찾기: 개인화 추천
아래 구체적인 예시들을 통해서 ChatGPT와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을 확인하시고, 각자의 목적과 상황에 맞게 응용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1. 명확하게 질문하기
ChatGPT에게는 명확한 용어와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여 질문의 의도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질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래야 질문에 맞는 최적의 답변을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ChatGPT는 대개 질문에 대해 도출해 낼 수 있는 수많은 답변 중 가장 일반적인 답변을 제공하므로, 범위를 설정하지 않고 질문을 한다면 때에 따라서 불필요한 내용이나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예시
[1-1]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해서 설명해 줘.
[1-2] 인터넷전문은행과 기존 시중은행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대표 사례 3가지 설명해 줘.
[1-3] 한국과 미국의 인터넷전문은행의 차이점에 대해서 대표 사례 3가지 설명해 줘.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하지만 [1-2]처럼 더 구체적으로 질문한다면, 차이점의 주요 꼭지를 i) 영업점의 존재 유무, ii) 서비스의 디지털화 정도, iii) 운영 비용과 수수료로 정하고,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해 줘요.
만일 [1-3]처럼 질문한다면, 한국과 미국에서의 인터넷 전문은행의 차이점을 i) 법적 규제와 허가, ii) 금융 제품의 다양성과 전문화, iii) 시장 규모와 경쟁으로 정하고,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면서 알려줍니다.
이처럼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해서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명확하게 질문할수록 ChatGPT로부터 구체적인 설명이 담긴 답변을 들을 수 있습니다.
2. 시점 정보 활용하기
질문할 때 원하는 시기를 구체적으로 지정하면, ChatGPT는 해당 시기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기간에 초점을 맞춘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ChatGPT의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 시점 이후의 정보는 알려주기 어렵겠죠. 😅)
📌 예시
[2-1] 보이스피싱 사기의 유형과 자금의 주요 출금 경로에 대해서 설명해 줘.
[2-2] 1990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에서 성행했던 보이스피싱 사기의 유형과 자금의 주요 출금 경로에 대해서 5년 단위로 요약해서 설명해 줘.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하지만, 보이스피싱의 경우 시기적으로 유행하는 패턴이 조금씩 달라지는 경향이 있는데요. 이런 흐름을 시기적으로 요약한 답변을 원한다면 [2-2]와 같이 시점에 대한 정보를 질문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ChatGPT는 질문의 취지에 맞게 5년 단위(1990-1995, 1996-2000, …, 2020-2023)로 시점을 나눠서 해당 시기의 주요 보이스피싱 유형과 자금 출금 경로를 설명해 줍니다.
3. 질문은 나눠서, 여러 번 물어보기
ChatGPT는 여러 정보가 하나의 문장으로 제공된 경우 이해를 잘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 번에 모든 정보를 요청하기보다는, 짧은 문장으로 나누고 여러 번 질문하면 원하는 답을 얻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ChatGPT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얻고, 놓칠 뻔했던 중요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예시
[3-1] 태국의 핀테크 기술 발전에 대해서 알려줘.
[3-2] 최근 10년 동안 태국의 핀테크 기술 발전 과정에 대해 5개 이내 주제로 설명해 줘.
그리고, 최근 10년 동안 인도네시아의 핀테크 기술 발전에 대해서도 5개 이내 주제로 설명해 줘.
마지막으로, 태국과 인도네시아의 핀테크 기술 발전 과정의 주요 차이점을 3가지 이내로 알려줘.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가령, [3-2]와 같이 태국과 인도네시아의 핀테크 기술 발전에 대해서 각각 질문한 후, 두 나라의 차이점에 대해서 질의하는 것을 하나의 프롬프트에 입력할 수 있는데요. [3-2]와 같이 질문하면, 태국의 핀테크 기술 발전에 대해서 5개의 주요 기술 요소에 대해 간략하게 대답해 주고, 이어서 인도네시아의 핀테크 기술발전에 대해서도 5개 이내의 주요 기술 요소에 대해 간략하게 대답해 줍니다. 마지막으로 두 국가의 핀테크 기술 발전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i) 시장 규모와 접근성, ii) 소비자 성향, iii) 디지털 인프라 및 보안 부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설명해 줍니다.
4. 답변의 형태를 지시하기
ChatGPT에게 원하는 답변의 분량과 형식을 명확하게 전달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양식으로 답변을 제공해 줍니다.
📌 예시
[4-1] 다음 //기호 뒤에 이어지는 신문 기사를 요약해 줘.
// (여기에 신문기사 텍스트 붙여 넣기)
[4-2] 다음 //기호 뒤에 이어지는 신문 기사를 5 문장 이내로 요약해 줘. 그리고, 기사 본문 중에서 긍정적인 내용과 부정적인 내용을 각각 2 문장으로 요약해 줘.
// (여기에 신문기사 텍스트 붙여 넣기)
// * 신문기사 1: 시중은행도, 인뱅도 외면한 중저신용... 코코아뱅크 CSS 고도화로 나 홀로 '상생' (또는 link 첨부)
// * 신문기사 2: 후르츠뱅크, 금융사기 피해 1620여 건 도왔다… ‘안심보상제’ 운용 1년 6개월 (또는 link 첨부)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하지만 보다 정확한 답변을 얻으려면 [4-2]의 질문처럼 얼마나 짧게 요약하면 좋을지 알려주고, 기사 내용 중에 긍정적인 내용과 부정적인 내용을 구분해서 함께 정리하도록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문기사 1과 신문기사 2의 내용을 요약하되 답변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정해서 질의를 해보았는데요. 지시한 대로 요약문을 5 문장 이내로 작성하고, 긍정적인 내용과 부정적인 내용을 분리해서 정리해 줍니다.
이렇게 정리된 내용을 엑셀 시트에 따로 모아두면 업무에 활용하기에 더욱 유용하겠죠?
신문기사 1:
코코아뱅크는 빠르게 상생 금융포털로 진화하고 있으며, 대안신용평가(CSS) 모델을 통해 중·저신용자 대출을 성공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반면 바나나뱅크와 두리안뱅크는 건전성 지표가 중·저신용자 대출을 줄이면서도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졌습니다.
긍정적인 내용: 코코아뱅크가 상생 금융포털로 진화하고 대안신용평가(CSS) 모델을 활용하여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내용: 바나나뱅크와 두리안뱅크는 중·저신용자 대출을 줄이면서도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졌습니다.
신문기사 2:
후르츠뱅크의 '안심보상제'가 1년 6개월 동안 1620여 건의 금융사기 피해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안심보상제는 보이스피싱과 부정송금 등의 금융사기 피해를 입은 고객을 보상하는 제도로, 후르츠뱅크가 국내 은행에서 처음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후르츠뱅크는 FDS 기술을 통해 부정거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신분증 검증 강화와 고객센터를 통한 금융사기 피해 예방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내용: 후르츠뱅크의 '안심보상제'가 1년 6개월 동안 1620여 건의 금융사기 피해를 해결하였습니다.
FDS 기술과 신분증 검증 강화 등의 노력으로 부정거래를 예방하고 고객을 보호하였습니다.
부정적인 내용: 기사에는 부정적인 내용이 없습니다.
5. 상황과 대상을 구체화해서 질문하기
ChatGPT에게 더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답변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답의 범위를 좁힐 수 있도록 특정 상황과 대상에 대한 구체화가 필요합니다. 그 결과, ChatGPT는 가정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와 결과를 탐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더욱 풍부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예시
[5-1] 주식형 펀드 상품 마케팅 문구 만들어줘.
[5-2] 군대 입대를 앞둔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한 펀드 마케팅 문구 만들어줘. 문구는 30글자 이내로 해줘.
이 펀드 상품은 1년 6개월 이상 유지할 때 수익이 극대화되는 게 특징이야.
제대 시점의 펀드 수익을 생각하면 힘든 군대 생활을 이겨 낼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해 줘.
10개의 예시를 만들어줘.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하지만, [5-2]와 같이 특정 시기의 특정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펀드 마케팅 문구를 만들도록 요청하면, 펀드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도 함께 설명하는 완전히 새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상황과 대상을 구체화해서 ChatGPT에게 질의하게 되면,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마케팅 문구를 만들어 주는데요. 생성된 마케팅 문구 중 몇 가지를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군대에서도 내 돈은 성장 중!”, “수익 키워 군복무 더 가치 있게!”, “군훈련도, 금융훈련도 시작!”
6. 마법의 단어 사용해서 질문하기: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지금까지 ChatGPT로부터 좋은 대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질문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는데요. 질문할 때 “똑똑한” 대답을 이끌어 내는 마법의 표현법이 있습니다. 바로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생각해 줘” 인데요. 영어로 질문할 때는 “Think about it step-by-step” 이라는 문장을 질문의 맨 마지막에 붙여주면 됩니다.
마법의 단어를 추가했을 때 ChatGPT가 더욱 똑똑한 대답을 하는 이유는 GPT 모델이 생각의 연결고리(Chain-of-Thought, CoT) 를 통해 대답을 이끌어 낼 때 추론 능력이 극대화되기 때문입니다.
CoT를 기술적로 설명하기에는 조금 어렵긴 한데요. 생성형 언어모델의 핵심 알고리즘인 트랜스포머(Transfomer)의 특성과 관련 있어요. 트랜스포머는 대규모 언어 데이터를 병렬처리 하는 모델인데요. 질문에 대한 결과물 생성을 한 단계씩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중간 결과물을 생성하고, 이것들을 취합하면서 최종 결과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때 모델의 추론 능력이 극대화되는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사람도 ChatGPT도 생각의 연결고리를 잘 활용할 때 보다 논리적인 대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예시
[6-1] 오늘이 화요일인데, 앞으로 100일 후는 무슨 요일일까?
[6-2] 오늘이 화요일인데, 앞으로 100일 후는 무슨 요일일까? 일주일이 7일인 점을 고려해서,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생각해서 알려줘.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이번에는 [6-2]처럼 질문의 말미에 ‘일주일이 7일인 점을 고려해서,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생각해서 알려줘'라는 문장을 추가해 주면, 다음과 같이 단계를 나눠서 논리적으로 접근하면서 정확한 답을 알려주는데요. 100일 뒤는 ‘목요일'이라는 결론에 도달합니다.
ChatGPT 답변 예시:
- 단계 1: 화요일부터 7일을 더하면 다음 주 화요일이 됩니다. 이후에도 7일씩 더해가면 됩니다. 100일은 14주와 2일이므로, 14번 7일을 더하고 2일을 더하면 됩니다.
- 단계 2: 화요일 + 7일 = 화요일
화요일 + 14일 = 화요일
화요일 + 21일 = 화요일
...
화요일 + 98일 = 화요일
화요일 + 99일 = 수요일
화요일 + 100일 = 목요일
- 단계 3: 따라서, 앞으로 100일 뒤는 목요일입니다.
이때 이 마법의 단어는 ChatGPT가 질문에 대답하는 과정에서 수리계산이 필요한 경우에 특히 효과가 좋습니다. 아니, 꼭 필요한 지시어입니다.👍
7. 제공된 정보 내에서 최적의 대답 찾기: 개인화 추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면, ChatGPT는 제공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상세한 결과를 찾아주는데요. ChatGPT의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면 개인화된 최적의 상품을 찾는데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여러 핀테크 플랫폼 기업에서 대출이나 카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런 플랫폼에서 제시해 주는 상품이 수십 개에 달합니다.
이때 나에게 해당하는 최적의 상품을 찾으려면 제시된 상품들을 하나하나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아래의 간단한 예시처럼 ChatGPT에게 질의해 본다면, 내가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가령, 어떤 사람이 핀테크 플랫폼에서 대출 상품 조회를 했더니 아래와 같이 10개 정도의 금융사로부터 제안을 받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0개의 제안 내용은 [7-1] 질문의 //기호 이후에 표시된 것처럼 스프레드시트의 표(Table) 형태로 정리해서 복사 & 붙여넣기로 ChatGPT 프롬프트에 입력하면 됩니다.
📌 예시
[7-1] 아래 목록에서 최저금리의 대출 상품을 추천해 줘.
은행명 한도 금리
S저축은행 3,700만원 11.47%
J은행 1,000만원 8.53%
D저축은행 3,520만원 12.99%
W캐피탈 300만원 10.50%
H카드 600만원 10.10%
B저축은행 3,800만원 10.13%
K캐피탈 4,000만원 9.70%
H저축은행 3,900만원 12.24%
N저축은행 3,050만원 10.50%
B캐피탈 4,700만원 11.70%
[7-2] 아래 목록에서 한도가 3,000만원 이상이면서, 금리가 가장 낮은 대출 상품을 추천해 줘.
// (10개 기관의 대출 제안 목록 붙여 넣기)
[7-3] 아래 목록에서 금리가 10.00% 미만이고 대출 한도가 1,000만원 이상인 대출 상품 중에서 금리가 최저인 상품을 추천해 줘.
// (10개 기관의 대출 제안 목록 붙여 넣기)
풀어서 설명해 보자면…
이런 경우에는 질문을 조금 바꿔 보면 더욱 좋은 대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7-2]와 같이 "한도가 3,000만원 이상이면서"라는 조건을 질문에 추가하게 되면, 우선 한도가 3,000만원 이상인 상품들로 대상을 한정한 후에 그 안에서 금리가 가장 낮은 상품을 찾아줍니다. 결국 한도가 4,000만원 이면서, 금리는 9.7%인 K캐피탈 상품을 추천해 주게 됩니다.
또한, 금리와 한도에 대해서 복합적으로 개인화 조건을 적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가령, [7-3]과 같이 질문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10.00% 미만이고 대출 한도가 1,000만원 이상인 대출상품 중에서 금리가 최저인 상품"과 같이 금리와 한도 조건을 복합적으로 적용해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J은행에서 제안한 금리가 8.53%이면서 대출한도가 1,000만원인 상품을 추천해 줍니다.
만약, 금리와 한도에 대해 복합적인 질문을 했을 때, 제대로 된 대답을 하지 못한다면, 6번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질문의 말미에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생각해 줘"라는 문장을 추가할 경우, 의도한 조건에 부합하는 상품을 찾아 답변해 줄 겁니다.
지금까지 ChatGPT와의 효과적인 대화를 위한 7가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살펴본 방법들을 활용해서 ChatGPT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 보시길 기대하며 글을 맺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