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데이터기술팀의 Logan이 작성한 이 글은 카카오뱅크의 사기 탐지 시스템(FDS)에 AI를 적용한 여정을 설명합니다. FDS 시스템의 기본 개념부터, 기존 Rule 기반 시스템의 한계와 AI 기반 시스템의 장점에 대해 다루며, AI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해결책을 상세히 소개합니다. AI 기반 FDS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이벤트 처리 시스템, Feature Store, 실시간 스트림 시스템, ML 서빙 분산 아키텍처 및 모니터링 방법까지 다루며, 실제 적용 사례와 기술적인 고려 사항을 함께 설명합니다. 데이터 엔지니어와 개발자, 데이터사이언티스트 간의 협업 과정을 통해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효율성을 높인 이야기를 통해, AI 기반 FDS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에 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Izel(김수현)
B(도예원)
Belle(김효빈)
카카오뱅크 데이터Biz캠프의 데이터 기획자 Izel, 데이터 분석가 B와 Bell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뱅크 앱에 새롭게 출시된 ‘배지 모으기 서비스’의 데이터 제품화 과정에 대해 공유합니다. 데이터 제품의 정의부터, 배지 모으기 서비스가 데이터 제품으로서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 고객의 행동 패턴을 반영한 배지 획득 기준 설정 과정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구현하며 겪은 흥미로운 경험과 도전 과제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Ashley(전예슬)
Prodo(박성현)
Wind(서동길)
지난 8월, 카카오뱅크 앱 2.28 버전이 배포되며 mini 서비스의 이용 연령이 7세로 낮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mini 연령 하향 프로젝트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계좌의확장캠프의 개발자 Prodo와 Wind에게 들어봤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배경과 과정, 그리고 기술적 고민들을 통해 작은 변화가 사용자에게 어떤 편리함을 제공하는지 조명해봅니다. DevRel 팀의 Ashley가 전하는 이번 인터뷰를 통해 카카오뱅크의 혁신적인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카카오뱅크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개발 리소스 부족과 빌드시간 증가가 큰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OS 개발자들이 모듈화를 도입한 과정을 살펴봅니다. 카카오뱅크 결제서비스개발팀 Zeon이 KWDC 2023에서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모듈화의 배경, 과정, 그리고 얻은 교훈을 공유합니다. 모듈화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